Search
Duplicate
🗒️

커뮤니티 크리에이터 6강_CC 이코노미 이론

노가영
20여년 동안 KT 등에서 OTT 전략...작가
<커뮤니티, 어떻게 만들고 운영해서 수익화할 것인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세상이 온다.
누구나 돈 버는 1천 명의 팬 이론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세상이란?
EX) 뉴스 크리에이터. 2018년~~ 페이스북에서 젊은 친구 떠나감. 지인 관계 중심의 생태계...40대 중후반의 유저들이 지인들의 소통보다는 정보 및 뉴스를 스크랩한 페이북 유지. 젊은 친구들은 서서히 떠나감. 전화위복? 다양한 지식 정보에 대한 컨텐츠가 아카이빙 되다 보니 오히려 페북이 뉴스 플랫폼으로 자리잡게 됨. MZ세대 다시 유입되고 소비 활성화.
썸원윤? 데이릴로 2-3개 정도의 디지털 뉴스 선별하여 요약 → 인사이트 넣어 피드로 제공하기 시작. 2020년 연말 정도 유료멤버십으로 테스트 공지. 1년 정도 됐는데 적극적으로 9900원짜리 멤버십 증가하고 있음.
페이스북 팬덤 형성 후 유료 구독 모델로 진화. 페이스북에서 탈해서 진화 → 콘텐츠 직거래, 탈 플랫폼화
인스타도 마찬가지. 한국에서는 인스타가 커머스가 직결되어 있음. 슈퍼 인스타그래머...인스타에서 팬덤 확보 후 독립적인 커머스 활동 시작.
진정한 팬 1000명....
크리에이터를 어렵게 생각하지 말기.
SNS에 피드 2-3개씩 올린다면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온라인모바일 콘텐츠 제작자(크리에이터)가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에서 팔로어를 거느리며 자신의 콘텐츠를 활용해 수익을 올리는 산업
왜 이런 흐름?
2015-2016년 교보문고 가면 모든 트렌드북에 플랫폼이 달려 있었음. OTT서비스 과잉공급 되면서 수요 공급 이론에서 콘텐츠 제공자들의 사업이 밸류업.
Creator First → 플랫폼 영향력을 줄어들고 크리에이터 영향력은 커지다
인터넷 패러다임의 변천사 속에서, 1990년대 www 시대.
2020년 페이스북 광고 수익 21조 → 개인이 올리는 피드를 모여 돈을 범. 그러나 크리에이터들에게 돈을 주지는 않음 → 페이스북의 언페어 게임 → 인터넷의 제3물결인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세상이 열림
약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여전히 플랫폼에 의지하는 것. 유튜브.
진화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플랫폼과 상관 없이 팬이 콘텐츠를 직접 구독하고 결제
글로벌 시장에서 본다면,
북미 시장 대비 3-5년 늦는 한국의 트렌드. 예를 들어, OTT 서비스..
코드커팅 (유료 유선 방송을 해지하고 온리안 스트리밍 서비스 등 새로운 플랫폼으로 시청자들이 이동하는 현상)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트렌드도 마찬가지임.
아마추어들은 인스타에서 시작. 프로페셔널은 유튜브로 넘어감.
지금은 디지털 크리에이터 5000만 명 시대
틱톡 팔로워 1억명 → 팔로워 수 1위 찰리 다멜리오
기업들이 스타 마케팅에 대한 의구심 가지기 시작
스타가 아닌 제품을 사용할 만한 사람을 통한 마케팅 진행을 고려하는 기업들
북미에서는 이미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한 기획사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음 → 세분화된 디지털 크리에이터 기획사들 → 한국 시장은 뷰티 시장에 국한되어 있음
패트리온...네이버가 118억원 투자. 포트폴리오 다양함...평균적으로 12만원 정도를 크리에이터에게 후원
잭 콘티 CEO, 스타 유튜버인데도 돈이 안 들어오는 이유를 궁금해 하기 시작.
서브스택은 90프로가 크리에이터에게 돈 돌아가고, 패트리언은 95프로에게 돈 돌아감
플랫폼 탈피해야 된다고 말한 맥락과 무엇이 다른가?
서브스택과 패트리온은 광고 기반의 플랫폼 아니다!
서비스이긴 하나 팬십 에이전시 정도로 생각
커뮤니티 크리에이터
유튜브, 넷플릭스가 수요자들에게 무엇을 가져다 주었을까? → 개인의 취향을 학습시킨 IT 플랫폼
예전에는 개인의 취향과 관계없이 인기 있는 콘텐츠를 소비했으나, 넷플릭스나 유튜브를 접하면서 ‘내가 모르는 미국배우, 드라마를 봐도 재밌구나’를 경험하게 됨. 다큐멘터리는 굉장히 재밌구나~ , 하드코어 같은 장르를 내가 좋아하는구나! → 취향 기반 콘텐츠의 성장
팬더믹에서 관계는 나와 친밀한 사람들로 축소하게 됨. 예전에는 문어발 같은 인맥을 자랑했던 사람들...부러워했던 그 문화가 달라짐. 마당발 보다는 취향 맞는 사람들의 커뮤니티를 만들어 리더십을 발휘하는 사람들이 힙하다고 느끼는 트렌드로 변화.
송길영 박사(데이터사이언스 과학자)
AI 융합 서비스에 대한 책.
내가 이 사람이랑 같이 있는 것 자체가 경제적 가치를 주는것 같다고 하면? 커뮤니티리더의 자질 있는 것!
옛날에도 자주 사용했던 커뮤니티...당신이 생각하는 구구절절 커뮤니티를 한 마디로 말한다면? → 디지털 살롱
Salons) 17-18세기 프랑스 상류사회에서 성행되던 귀족과 문인들의 정기적인 사교모임
살롱을 대중적으로 보급하면서...오프라인이 디지털로 바뀌어감.
트레바리!!!
독서모임 커뮤니티 유료 플랫폼) 팬더믹 2-3년 거치면서 독서모임 회원들 30%이상이 온라인으로 완전히 트랜스포메이션 → 모바일 기반의 디지털 살롱...→ 끌어가는 원천이 무엇인가? → 커뮤니티 크리에이터
기록과 실천의 힘
커뮤니티 크리에이터로 성장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능력.
썸원윤의 성공을 보며, 노작가도 생각함. 디지털 뉴스레터 크리에이션? 할 수 있어. 그 날의 핫한 뉴스 큐레이팅해서 전무님에게 보고하는 걸 일상으로 하고 있었음. 작년 추석에 통신기업 AI팀장과 함께 만든 계정. 그 친구가 2개, 노작가 2개 +인싸이트 만들어서...21일 하고 그만둠...ㅠㅠ
데일리로 아카이빙 하는 일이 굉장히 어려운 일.
세바시) 이승희 마케터 : 결국 말하는 기록이 중요하다. 꾸준한 기록이 콘텐츠가 된다.
노마드크리스TV) 재테크 콘텐츠...빅머니 아닌 작은 돈들 버는 방법 알려줌. 맨날 말해줘도 안 따라한다...기록과 실천, 축적의 힘이 중요하다! → 취향 기반 커뮤니티의 첫 걸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