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

자기이해란?

자기이해는 나와 마주보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와 마주본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요?
마주본다는 건 나와 구별된 대상, 타인이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마치 타인처럼 나를 바라보는 장면을 상상해 보셔도 좋습니다. 심리학 이론에서는 자기(self)를 경험적 자기와 관찰적 자기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이는 감정을 경험하는 나와, 경험하는 나를 관찰하는 나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나를 마주본다는 건, 관찰적 자기가 되어본다는 의미입니다. 메타인지, 자기성찰 같은 개념으로도 이해해 볼 수 있습니다. 심리적으로 성숙한 기능이지요. 그저 그 경험에 매몰되지 않고 바깥에서 나를 관찰하고 이해하는 것이 나와의 마주봄, 곧 자기이해입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건 바깥에서 나를 관찰해 보는 겁니다. 우리는 일상에서 거의 자신을 관찰하지 않습니다. 그저 무엇을, 누군가를 경험할 뿐이죠. 내가 의식하는 세계 그 이상을 의식하지 못한 채 반응할 뿐입니다. 하지만 바깥에서 나를 관찰하려면, 내 무의식의 세계를 알아차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령, 엄마들은 아이로 인해 희노애락오욕의 감정을 경험합니다. 그 중에는 내가 이해하는 나의 감정도 있지만 나도 알 수 없는 감정이 올라와 나 자신과 아이를 고통스럽게 할 때도 있습니다. 내가 이해하는 감정은 내가 의식하고 있는 감정입니다. 나도 이해할 수 없고 조절하기도 어려운 감정은 내가 '의식하지 못하는 나'가 느끼는 감정입니다. 이 감정은 무의식에 억압되어 있는, 나의 어린 시절에 진하게 경험한 감정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니 엄마로 살아가면서 제대로 나를 마주보려면 무의식의 세계에 접촉할 필요가 있습니다.
<금쪽 같은 내 새끼>에 나온 부모들을 관찰해 보신 적이 있나요? 오은영 박사와 몇몇 연예인들 앞에서 부모들은 잔뜩 긴장합니다. 사랑하는 아이의 문제는 대부분 부모의 문제로 연결되기 때문에 그들은 방송 내내 죄인의 심정으로 앉아 있습니다. 그런데 표정, 몸짓까지 경직되어 있던 부모들이 무장해제되는 순간이 있어요. 오은영 박사가 부모들의 아픔에 공감하는 바로 그 순간, 얼어있던 부모들의 마음이 녹고 눈물이 흐릅니다. 그제서야 부모 역시도 무조건적인 사랑을 받고 싶었던 '나'를 마주보지요. 그리고 나와의 마주봄은 자연스럽게 아이와의 마주봄으로 이어집니다.
엄마가 된 이후에는 아이를 키우면서 내 어린 시절에 억압해 놓은 감정들이 더 자주 자극될 환경에 놓이게 됩니다. 그래서 사랑하는 아이에게 나도 모르게 화를 낼 때도 있고, 버럭 소리지르기도 하고, 우울하거나 공허해지기도 합니다. 이런 감정들이 공감받지 못한 채 다시 꾹꾹 억압되거나 아이에게 투사된다면 나 자신 뿐만 아니라 아이에게도 큰 상흔을 남깁니다. 그러니 엄마로서 나를 마주본다는 것은 나 자신과 아이 모두를 살리는 치유의 과정입니다.
엄마들 뿐만 아니예요. 누구든지 나와 마주하는 것은 큰 용기를 필요로 합니다. 무의식 안에 숨겨놓은 나의 어두운 그림자도 만나야 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자세히 보고, 오래 보다 보면 이전에 보지 못한 나의 사랑스러움도 만나게 됩니다. 그러니 조금만 용기를 내세요. 반짝거리는 나의 빛과 만날 때까지